그래도, 우리는 팀이니까
팀원이 영화를 한 편 추천해줬다. ‘스타 이즈 본’이라는 영화인데, 제목만 들어보고 크게 아는바가 없었다. 줄거리를 간략히 요약하면, 하향세를 그리는 스타와 상향선을 그리는 루키의 사랑 이야기다. 필연적으로 반비례한 곡선이 그려질, 두 관계에 초점을 맞춰서 극이 진행된다. 추락하던 남자는 사랑하는 연인을 위해 숭고한 희생을 하는 것 처럼, 스스로 생을 마무리하며 영화는 끝이 난다.
보는 시점에 따라 낭만적인 결말, 비극적인 사랑, 아름다운 마무리일 수 있다. 그러나 어쩌면, 남자는 가장 무책임하면서 손쉬운 선택지를 고른 건 아닐까? 사람의 흔적은 남는다. 모두의 기억도, 자신이 해결해야 했던 문제들마저 지우지 않은 채 남은 이들에게 떠넘기는 행위는 아니었을까.
개인적인 일들로 안그래도 속시끄러운데, 팀도 개편되면서 잡음이 생기고 있다. 이런 소음들이 생기는 이유들을 출퇴근길에 곰곰이 생각해 봤다. 결국 자신의 언행에 책임지지 않으려 하는 순간 모든 갈등이 시작되는 것 같다.
어떤 자리, 직책의 존재 이유는 책임에 있다고 생각한다. 많은 급여와 팀을 이끌어갈 권한은 직책을 떠받들기 위함이 아니라 부여된 책임을 보조해주기 위함일 것이다. 권한은 커지는데, 책임은 작아진다. 말은 한없이 강해지는데, 그 무게는 끝도 없이 가벼워진다.
물론 나도 항상 감내하는 삶을 살아왔다고 자신있게 말은 못하겠다. 감정이 태도로 나오는 걸 정말 싫어하는데, 오늘은 자꾸 마음속에 울적한 감정들이 조금씩 새어나왔다. 정말 부끄럽고 잘못된 행동이지만, 팀원들은 기꺼이 내 무책임을 품앗이 해줬다. 이건 당연한 권리가 아니다. 감사해야 할 행동이고, 또 다른 순간에 되돌려줘야할 빚이자 고마움이다.
조직이 견뎌낼 수 있는 책임의 총량이 있다고 생각한다. 팀이 커지고, 많아진 구성원들 각자에게 그 무게가 골고루 분산되어야 건강한 조직이라고 생각하는데, 우리는 지금 어떤 상황인지 잘 모르겠다. 업무 효율을 위한 조직 개편이 없던 이기주의마저 만든 걸까, 아니면 마지막 가림막마저 걷어버린 걸까.
그래도 잘 해봐야지. 우리는 이젠 팀이니까.